강만규 강사님
다목적 관리기 교육 및 실습
미니 굴착기 실습
센터 안내도
농기계보관소
농기계보관소에는 농기계 뿐만 아니라 교육생들의 농기구들도 비치해 두고 있다.
강만규강사님의 관리기 구조 및 안전 관리 교육
피복기 사용법 교육
두둑만들기 실습
1순번으로 관리기로 두둑을 만들어 보았다. 두둑은 라인이다. ㅋ
생애 처음으로 관리기를 사용해봤는데 이정도면 만족한다.
여기서 보니 활처럼 휘었다.
다른 실습생들의 두둑
기존에 있던 두둑을 기준으로 40~50cm 띄어서 만드는것이므로 직선이 아니어도된다.
휴립기 실습
관리기, 휴립기, 비닐피복기 이렇게 3가지 실습이 있었는데, 모두 아세아관리기를 사용하며 앞부분에 장치를 바꿔서 사용하는 것이다.
휴립기는 바퀴에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가 있다. 이 나사의 높이를 조절하여 휴립기의 두둑이 예쁘게 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바퀴가 너무 높으면 엔진출력보다 토지의 저항이 커서 엔진이 꺼지고, 바퀴가 너무 낮으면 두둑의 윗면이 고르게 나오지 않는다.
시동조작 버튼
전기시동 : 앞에 관리기 키로 시동을 걸때 위치시킨다.
수동시동 :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겨울철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수동으로 시동을 건다.
수동레버(매뉴얼:리코일스타트손잡이)
수동으로 시동을 걸때 엔진톱처럼 시동을 걸 수 있다. 이 레버를 천천히 당기면 힘이 걸리는 위치가 있는데 여기까지는 천천히 당기고 힘을 받는 위치에서 힘차게 당기면 된다. 이때 RPM레버를 돌려둬야한다.
RPM레버(매뉴얼:조속레버)
조속레버는 왼쪽 핸들에 있으며 6시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RPM(출력)이 높아진다.
검은색은 주클러치레버, 빨간색은 안전레버
주클러치레버는 고속 저속이 있으며 고속/저속을 선택한뒤 위로 올리면 클러치가 작동된다.
안전레버는 비상시 아래로 내리면 관리기 작동이 멈춰진다.
가운데 자전거 브레이크 같은 레버는 핸들상하조절레버이며 손잡이(핸들)의 높이를 조절한다. 왼쪽은 핸들 좌우조절레버이며 오른쪽이 핸들상하조절레버이다
왼쪽 : 로타리(작업)클러치레버
작업클러치레버는 관리기 앞에 달려있는 장치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이다.
관리기, 휴립기의 경우 클러치가 있으나 비닐피복기는 클러치가 필요없다.
발판
휴립기의 경우 발판이 있다. 휴립기는 후진으로 작동되며 회전시 휴립기 무게 때문에 회전이 쉽지 않다. 이때 발로 체중을 실어 누르면 휴립기 앞부분이 들리며 회전을 하기 쉽다.
왼쪽 조향클러치레버
조향클러치레버는 각 방향(왼쪽/오른쪽)바퀴에 동력을 차단하는 레버이다.
전/후진에서 해당 바퀴에 동력을 차단하여 회전을 한다.
오른쪽 조향클러치레버
연료탱크:가솔린(휘발유)
엔진톱처럼 휘발유+오일을 넣지 않고 휘발유만 넣는다.
공기필터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이다.
주기적 청소? 교체? 정비 방법은 따로 알아봐야할것같다.
매뉴얼을 보면 연료필터와 에어크리너가 비슷한 위치에 있어 구분이 안된다.
사진에서처럼 위는 공기필더, 아래는 연료필터인것 같은데
굵게/잘게 레버
토지를 굵게 또는 잘게 파쇄하는 변속레버. 저 레버를 어떻게 돌리는 지 모르겠다. 호기심에 돌려보려했지만 돌아가지 않는다.
수동시동에 사용하는 초크레버
엔진톱과 같이 공기 예열(?) 용인것 같다.
배터리
변속기
변속기는 전진1단, 전진2단, 후진1단, 후진2단이 있다
여기까지 오전교육이고
오휴에도 관리기 실습을 수행했다. 시간이 남아 굴착기 실습도 했다.
미니 굴착기로 사용에 어려움은 없다.
몇시간 연습하면 기본적인 평탄작업은 가능할 것 같다.